2025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알아보기 (최저임금 기준 월급은 얼마?)
어느덧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올해 최저임금과 주휴수당은 얼마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2025년 최저임금과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과연 얼마나 올랐는지,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은 얼마인지, 그리고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월급은 얼마인지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할게요.

2025년 최저임금, 얼마나 올랐나?
먼저 2025년 최저임금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는데요.
작년인 2024년의 9,860원에서 170원(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최저임금이 1만 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이슈가 되기도 했었죠..ㅎㅎ)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 입장에서 볼 땐 물론 좋지만 사업주들에게는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여러가지 의견이 있는 듯 한데요.
어쨌든 근로자라면 최저임금이 얼마인지 정도는 잘 알아두셔야 불이익 받는 일이 없다는 점!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소정 근로일을 모두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 휴일 수당을 의미합니다.
근로자라면 당연히 누릴 수 있는 권리인 만큼 잘 알아두시는 것이 좋은데요.
쉽게 말해 일주일 동안 열심히 일한 근로자에게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시간 아르바이트라고 할지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누구나 받을 수 있으며.
사업주는 주휴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으므로 제대로 지급되고 있는지 꼼꼼히 챙겨시면 좋을 것 같네요.
(물론 주휴수당은 일정한 기준이 있긴 한데 상세한 내용은 추후 기회가 되면 다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하기
그렇다면 2025년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은 얼마일까요?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 계산법은 기본 시급에 1.2를 곱하는 방식으로 계산되는데요. 아래와 같이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 기본 시급: 10,030원 * 주휴수당 포함 시급: 10,030원 × 1.2 = 12,036원 |
참고로 2024년의 경우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 11,832원이었습니다.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올해는 204원이 인상된 셈이네요.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월급 계산하기
이번에는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월급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월 근로시간은 209시간인데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월급: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 2024년에는 최저임금 기준 월급이 2,060,740원이었는데요. 이와 비교해 보면 약 35,530원이 증가한 셈이네요.
최저임금 미준수 시 어떤 처벌 받게되나?
최저임금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주가 최저임금을 지키지 않을 시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최저임금 고지 미이행의 경우에도 1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근로자가 신고할 경우 사업주는 추가적인 행정 조치를 받을 수 있으니 실수로라도 최저임금을 어기지 않도록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2025년 최저임금 얼마인지 알아보고,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 및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월급까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근로자분들은 근로계약서에 인상된 최저임금이 잘 반영되었는지 잘 확인하시고, 주휴수당 부분에 대해서도 잘 지급이 되고 있는지 점검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오늘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돈되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서부선 경전철 민투심 통과 소식 (+노선 및 수혜지역) (0) | 2024.12.18 |
---|